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1991년 중국에 밀려 2위에만 머물던 대한민국팀에, KAL폭파로 이어진 냉전관계 해소책으로 스포츠교류 세계선수권대회에 남과 북 단일팀이라는 출전명령이 떨어집니다. 팀명은 코리아, 이념과 사상이 다른 남과 북의 단일선수팀은 과연 어떻게 팀워크를 만들 수 있을까 코리아 이야기와 함께 감독의 계획, 그리고 감동포인트를 알아보겠습니다. 

    코리아

    코리아 

    코리아 이야기

    코리아는 한국의 역사, 문화 및 대중의 관심이 쏟아지는 매력적인 스포츠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1991년 세계 탁구 왕관을 배경으로 남북 선수들이 단일팀을 구성하기 위해 뭉친 놀라운 실화를 그립니다. 이 분기점은 비록 일시적이지만 수십 년 동안의 분열과 갈등 속에서 서로 간에 배타적인 편견과 불신을 깨고 잠시의 틈과 화해의 순간을 맞이하게 됩니다. 문현성 감독이 연출하고 하지원과 배두나가 리얼하게 연기한 코리아는 짜릿한 스포츠 액션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정체성, 확신, 인내라는 심오한 주제를 탐구합니다. 남과 북이라는 세계유일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은 세계선수권대회에 단일팀으로 출전한다는 청천벽력을 듣게 됩니다. 선택의 여지없이 훈련을 받게 된 양 팀의 선수들은 화합하지 못하고 여러 가지 불편한 사건사고들을 겪게 됩니다.  몇 년간 팀워크를 이루어도 막강 팀인 중국을 상대하긴 불가항력인데 남과 북 단일팀이라니, 하지만 선수들은 점차 서로에게 호기심을 갖게 되며 알 수 없는 우정이 싹트게 됩니다. 중국과의 마지막 결승을 앞둔 날 북한 측 지도자들은 일방적으로 경기출전을 불허합니다.  현정화와 남한선수들은 빗속에서 북한팀을 향해 눈물로 호소합니다. 우리는 코리아팀이라고,  모두가 숨죽인 가운데 감동받은 북한팀은 중국을 상대로 한 결승전에 참가하게 되고, 막상막하 숨 막히는 접전 끝에 코리아팀은 승리의 금메달을 쟁취하게 됩니다. 한국인의 지속적인 정신을 반영하는 다양한 상황에 울려 퍼지는 이야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의 이면에 숨겨진 부분을 생각하며 집중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독의 계획 

    문현성 감독의 계획은 전형적인 희생 이야기를 뛰어넘는 좀 더 의미 있는 스포츠 드라마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감독은 단순히 스포츠의 성패를 통한 자극적인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닌 역사적으로 분단된 국가에서 갈등과 배척이 아닌 연대와 화해의 중요성을 이끌어내고자 한 것입니다. 1991년 남북한 선수들이 하나의 단일팀을 구성한 세계 탁구 왕관을 배경으로 한 이 영화는 다른 이념체제로 인한 정치적 압력 속에서 드문 협력의 순간을 보여줍니다. 하지원과 배두나가 연기한 주인공을 통해 문현성은, 선수들이 훈련에 참여하고 있지만 불만족스러운 개인을 탐색하는 감정적이고 소모적인 갈등을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중 하나는 선수들의 유대감, 특히 하지원과 배두나가 연기한 대표 인물들 간의 끈끈한 유대감입니다. 이는 남과 북이라는 분단국가를 두 주인공들의 대치로 대입시 킨 것입니다. 서로 끊임없는 견제 속에서도 형제애 같은 정서적인 이끌림을 연출합니다. 문현성은 특정한 이야기와 인문들과의 역학 관계를 맺음으로써 더 넓은 정치적 서사를 인간화하고 관객들이 연대와 이해를 위해 사건을 배치합니다. 불신에서 집단적 존중과 동료애로의 사건적 흐름은 화해를 상징합니다. 감독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바로 화해입니다. 전쟁으로 만들어진 분열과 연대를 탁구라는 스포츠를 통해, 양 팀 모두 하나의 방향을 바라보며,  하나의 목표를 갖고,  함께 나아가는 자세를 보여줍니다.

    감동포인트

    코리아에서 감동포인트 중 하나는 남북한 탁구 선수들의 첫 만남입니다. 서로를 적대자로 간주하도록 가르침을 받은 선수들이 마주하면서 긴장과 어색함으로 가득 찬 순간입니다. 이 장면은 남북한 사이에 뿌리 깊게 자리 잡은 분열과 불신을 강조하기 때문에 가슴이 아픕니다. 또한, 특히 감동적인 장면은 남한의 현정화와 북한의 리분희가 탁구에 대한 사랑에 대해 유대감을 형성하기 시작하면서 발생합니다. 원래 서로에 대해 조심스러웠던 그들은 점차 마음을 열고 그들의 가족이야기와 함께 이념차이로 인한 사소한 견제를 보여줍니다. 남한의 현정화가 경제적으로 풍족한 남한으로 넘어오고 싶지 않냐는 질문에 리분희는 대답을 합니다. 미국이 남한보다 더 부자인데 너는 미국에 가서 살고 싶냐라고 당차게 답변합니다. 부유하다 가난하다로 조국을 선택할 수는 없다는 표현은 많은 생각과 더불어 감동을 불러일으킵니다. 또한 결선을 하루 앞두고 출전 불허명령을 받은 북한선수들의 포기를 보게 된 현정화와 남한선수들이, 쏟아지는 빗속에서 우리는 모두 같은 코리아 팀이라고 북한지도자들을 설득하여 남북한 선수들이 서로를 감싸 안으며 위로하는 장면에서, 관객들은 이념과 의식 모두와 상관없이 감동의 울림을 느끼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우여곡절을 겪으며 맞이한  마지막 결승 대결은 잊을 수 없는 장면입니다. 심판은 긴박한 상황에서 편파적으로 상대국에 유리하도록 코리아팀에 페널티를 2회 날립니다. 이때 리분희는 오기와 근성으로 마지막 서브로써 우승을 이끌어내며 관객의 환호를 유발합니다. 이 장면들은 영화의 하이라이트일 뿐만 아니라 화해, 그리고 영원한 인간 정신의 전달에도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한민족이지만 분열된 분단국가, 대한민국과 북한 서로 다른 이념과 체제 속에서 선수로 생활하던 현정화와 리분희 리분희는 절대 동요하지 않으며 경기를 끝끝내 마칩니다. 서로 달랐지만 승패보다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는 모습에서 관객들은 진한 감동의 느끼게 됩니다. 

     

    반응형